우리 정부 산하 해양연구기관이 최근 해상 관측용 부표를 한중 잠정 조치 수역 안으로 전진 배치한 사실이 YTN 취재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한중 해양 경계 획정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중국이 최근 한반도 주변에 부표를 공세적으로 배치한 것에 대한 맞대응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07년 서해 중부 먼바다에 설치된 직경 10미터, 무게가 50톤의 해상 관측용 대형 부표입니다. <br /> <br />해수부 산하 한국해양과학기술원(KIOST)은 최근 이 대형 부표를 한중 공동 어업 구역에 해당하는 잠정 조치 수역으로 이동 배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, 한중 잠정 조치 수역 안에서 중국 측 부표가 발견된 것에 대한 맞대응 차원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중국은 해경을 보내 부표 설치를 마치고 복귀하는 우리 측 바지선을 추격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서해 인근에서 먼저 '부표 도발'에 나선 건 중국입니다. <br /> <br />잠정 조치 수역을 지나는 동경 123도와 124도 사이 서해중간선 일대에서 최근 6개의 중국 부표가 발견된 겁니다. <br /> <br />서해에서 배타적 경제수역(EEZ)이 겹치는 한중 양국은 아직 해상 경계를 확정 짓지 못하고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1년 어업협정을 맺고 잠정 조치 수역을 설정했지만, 어디까지나 해상 조업에 대해서만 규정한 미봉의 합의였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최근 중국의 공세적 부표 배치는 향후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신범철 / 국립외교원 교수 : 부표를 설치했다고 해서 그게 나중에 (해양 경계 획정) 협상에 반영되는 건 아니거든요. 일종의 정치적 압박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고…] <br /> <br />해상 주권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로 우리가 맞대응에 나선 가운데 중국은 아직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02521120044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